PERF01-BP02 아키텍처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정의
클라우드에 대한 내부 경험과 지식을 사용하거나 게시된 사용 사례, 관련 설명서 또는 백서 등의 외부 리소스를 사용하여 리소스 및 서비스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합니다. 워크로드에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는 테스트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해야 합니다.
아키텍처에 대한 중요한 사용자 사례를 작성할 때는 각 중요 사례를 얼마나 빠르게 실행했는지 명시하는 등 성능 요구 사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러한 중요 사례에서는 이런 사례들이 요구 사항을 어떻게 만족시키는지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스크립트들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안티 패턴:
-
시간이 지나면 현재 아키텍처가 정적 아키텍처가 되고 업데이트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
시간이 지나면 타당한 이유 없이 아키텍처 변경을 도입합니다.
이 모범 사례 정립의 이점: 아키텍처 변경을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면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워크로드 설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모범 사례를 정립되지 않을 경우 노출되는 위험의 수준: 높음
구현 가이드
아키텍처 접근 방식 선택: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아키텍처의 종류를 식별합니다. 전송 미디어(데스크톱, 웹, 모바일, IoT), 기존 요구 사항 및 통합 등의 제약 조건을 식별합니다. 리팩터링을 포함한 재사용 기회를 식별합니다. AWS 솔루션스 아키텍트, AWS 참조 아키텍처 및 AWS 파트너와 같은 다른 팀,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및 리소스를 참조하면 아키텍처 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성능 요구 사항 정의: 고객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중요한 지표를 식별합니다. 각 지표에 대해 목표, 측정 방식 및 우선 순위를 정합니다. 고객 경험을 정의합니다. 고객이 요구하는 성능 경험 및 고객이 워크로드의 성능을 판단하는 근거를 문서화합니다. 중요한 사용자 사례에 대한 경험 문제를 우선적으로 처리합니다. 성능 요구 사항을 포함하고 스크립트로 작성된 사용자 여정을 구현하여 이러한 사례의 성능이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합니다.
리소스
관련 문서:
관련 동영상:
관련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