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05-BP03 각 구성 요소의 철저한 분석 수행
조직에서 발생하는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비용을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운영 및 관리 비용을 감안하여 총 소유 비용을 파악합니다(특히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검토 작업은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 대비 구성 요소 비용 등의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을 반영해야 합니다.
이 모범 사례가 수립되지 않을 경우 노출되는 위험의 수준: 낮음
구현 가이드
팀은 이렇게 절약한 시간을 기술적 부채 청산, 혁신 및 부가 가치 기능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프레미스 환경을 최대한 빠르게 클라우드로 리프트 앤드 시프트하고 최적화는 나중에 수행하는 경우입니다. 라이선스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는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는 비용 절감 이점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면 서비스 유지 관리를 위한 운영 및 관리 부담이 제거되므로 혁신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형 서비스는 클라우드 규모로 운영되기 때문에 트랜잭션 또는 서비스당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리형 서비스에는 대개 충분한 용량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할 수 있는 속성이 있습니다. 초과 용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성능은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러한 속성을 설정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AWS Management Console 또는 AWS API 및 SDK를 사용해 AWS Managed Services의 속성을 수정하여 변화하는 수요에 맞게 리소스 요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mazon EMR 클러스터나 Amazon Redshift 클러스터의 노드 수를 늘리거나 줄여서 클러스터 규모를 스케일 아웃하거나 스케일 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AWS 리소스의 여러 인스턴스를 압축하여 리소스 사용 밀도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소형 데이터베이스 여러 개를 프로비저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량이 증가하면 스냅샷 및 복원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전용 Amazon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관리형 서비스에서 워크로드를 프로비저닝할 때는 서비스 용량 조정 요구 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요구 사항은 시간, 작업량 및 정상 워크로드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합니다.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할 때는 변경이 발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이 시간을 허용하는 데 필요한 오버헤드를 프로비저닝해야 합니다. Amazon CloudWatch 등의 시스템 및 모니터링 도구와 통합된 API와 SDK를 사용하면 서비스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지속적인 작업을 사실상 수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Amazon RDS
AMS
구현 단계
-
철저한 분석 수행: 구성 요소 목록을 사용하여 가장 높은 우선순위부터 가장 낮은 우선순위까지 각 구성 요소를 살펴봅니다. 우선순위가 높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성 요소의 경우 추가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 가능한 모든 옵션과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합니다. 우선순위가 낮은 구성 요소의 경우 사용량 변화로 인해 구성 요소의 우선순위가 변경되는지 평가한 다음 적절한 작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합니다.
리소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