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 개선에 도움 주기
이 사용자 가이드에 기여하려면 모든 페이지의 오른쪽 창에 있는 GitHub에서 이 페이지 편집 링크를 선택합니다.
EKS 자동 모드 릴리스 정보 검토
이 페이지에서는 Amazon EKS 자동 모드에 대한 업데이트를 설명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기능, 버그 수정, 알려진 문제,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기능에 대한 공지 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특정 설명서 페이지의 모든 소스 파일 변경 사항에 대한 알림을 받으려면 RSS 리더를 사용하여 다음 URL을 구독하세요.
https://github.com/awsdocs/amazon-eks-user-guide/commits/mainline/latest/ug/automode/auto-change.adoc.atom
2025년 8월 24일
버그 수정: 대문자가 포함된 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으로 DHCP 옵션 세트를 사용한 VPC의 경우 잘못된 호스트 이름을 생성하여 노드가 클러스터에 조인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문제는 해결되었으며 이제 대문자가 포함된 도메인 이름이 올바르게 작동합니다.
2025년 8월 15일
버그 수정: 이제 Pod Identity 에이전트는 IPv4 EKS 클러스터의 IPv4 링크 로컬 주소에서만 수신 대기하여 포드가 IPv6 주소에 도달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합니다.
2025년 8월 6일
기능: EKS Auto Mode 노드에 퍼블릭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NodeClass spec.advancedNetworking.associatePublicIPAddress
에 새 구성 추가
2025년 6월 30일
기능: 이제 자동 모드 NodeClass는 구성된 사용자 지정 KMS 키를 사용하여 읽기/쓰기 데이터 볼륨 외에 인스턴스의 읽기 전용 루트 볼륨을 암호화합니다. 이전에는 사용자 지정 KMS 키가 데이터 볼륨 암호화에만 사용되었습니다.
2025년 6월 20일
기능: EC2 온디맨드 용량 예약(ODCR)으로 워크로드 배포 제어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NodeClass에 선택적 키인 capacityReservationSelectorTerms
가 추가되어 워크로드에서 사용할 ODCR을 명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EKS 자동 모드를 사용하여 EC2 온디맨드 용량 예약으로 워크로드 배포 제어 섹션을 참조하세요.
2025년 6월 13일
기능: NodeClass
에서 별도의 포드 서브넷 지원. 포드의 서브넷과 보안 그룹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적 키 `podSubnetSelectorTerms
와 podSecurityGroupSelectorTerms
가 추가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드의 서브넷 선택 섹션을 참조하세요.
2025년 4월 30일
기능: NodeClass
에서 순방향 네트워크 프록시를 지원합니다. 이로 인해 HTTPS 프록시를 설정하는 선택적 키 advancedNetworking
이 추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노드 클래스 사양 섹션을 참조하세요.
2025년 4월 18일
기능: 유니캐스트 DNS를 통해 .local 도메인(일반적으로 멀티캐스트 DNS용으로 예약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025년 4월 11일
기능: NodeClass
에 certificateBundles
와 ephemeralStorage.kmsKeyID
가 추가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노드 클래스 사양 섹션을 참조하세요.
기능: 이미지 풀 속도가 개선되었습니다. 더 빠른 이미지 압축 해제를 활용할 수 있는 로컬 인스턴스 스토리지가 있는 인스턴스 유형의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버그 수정: 시작 즉시 노드로 예약하는 포드에 대해 FailedCreatePodSandBox(‘다이얼링 중 오류 발생: dial tcp 127.0.0.1:50051: connect: connection refused’)가 가끔 발생하는 경합 상태가 해결되었습니다.
2025년 4월 4일
기능: registryPullQPS
를 5에서 25로 늘리고 registryBurst
를 10에서 50으로 늘려 클라이언트가 강제로 적용하는 이미지 풀 스로틀링을 줄입니다(Failed to pull image xyz: pull QPS exceeded
).
2025년 3월 31일
버그 수정: 코어 DNS 포드가 자동 모드 노드에서 실행 중일 때 노드의 포드에서 보내는 DNS 쿼리가 노드 로컬 DNS 서버가 아닌 해당 코어 DNS 포드에 도달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자동 모드 노드의 포드에서 보내는 DNS 쿼리는 항상 노드 로컬 DNS로 갑니다.
2025년 3월 21일
버그 수정: 이제 클러스터에 kube-dns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자동 모드 노드가 kube-dns.kube-system.svc.cluster.local
을 올바르게 확인합니다. GitHub 문제 #2546
2025년 3월 14일
기능: IPv6
클러스터에서 IPv4
송신이 활성화되었습니다. IPv6
자동 모드 클러스터에서 송신되는 IPv4
트래픽은 이제 노드 프라이머리 ENI의 v4
주소로 자동 변환됩니다.